「기본의학교육 학습성과: 진료역량 중심」
(제2판) 개발 방향

이강욱
KAMC 전문위원, 진료역량 중심 개발 TF 팀장, 충남의전원 교수

「기본의학교육 학습성과: 진료역량 중심」(제2판) 개발 방향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이하 협회)는 우리나라 의학교육의 발전을 위해 1995년도부터 의과대학 학습목표집을 발간해 오고 있으며 2012년에 "새로운 학습목표 개발은 사회적 건강요구에 부합하는 역량을 학습성과로 하여야 한다."는 공감대를 바탕으로 ´기본의학교육 학습성과: 진료역량 중심´제1판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학습성과 개발의 기본 목표는 졸업 후 흔한 ´임상표현´을 가지고 의료기관을 찾는 사람들을 담당하는 일차 진료의사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진료역량에 대한 졸업성과의 개발이었다. 그 후 협회는 학습목표개발 기획위원들을 중심으로 2012년에 발간한 ´기본의학교육 학습성과: 진료역량 중심´ 제1판 에 대한 활용 현황을 분석하고 각 대학의 의견을 수렴하여 졸업 후 의사로서 꼭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진료역량에 대하여 재검토를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협회의 학습목표개발 기획위원회는 의사로서 진료 현장에서 흔히 접할 수 있거나, 초기 진료 단계에서 질환의 악화를 방지하고 신속한 진단과 치료계획 수립을 위해 적절한 초기 대응이 요구되는 임상표현 101개를 최종 선정하였다.

특히 이번에 협회가 개발하는 ´기본의학교육 학습성과: 진료역량 중심´ 제2판 에서는 선정한 각 임상표현에 대한 병인과 병태생리 등의 과학적 토대를 바탕으로 의사의 기본 직무를 적절하게 수행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하여 ´일반학습성과(general learning outcome)´와 함께 각 임상표현에 대하여 ´필요성(rationale)´, ´최종학습성과(terminal learning outcome)´,´실행학습목표(enabling learning objective)´,´과학적 개념과 원리(scientific concepts and principles)´, ´필수 임상술기 및 진료수행(clinical skills and performances)´ 그리고 각 임상표현과 관련된 ´맥락(context)´으로 구분하여 개발하였다.

일반학습성과는 학생들이 의과대학 또는 의학전문대학원을 졸업할 때까지 진료의사로서 갖추어야 할 일반적인 최소역량이다. 각 임상표현에 대한 필요성에는 학생들이 해당 임상표현을 학습하거나 경험하여야 하는 교육적 필요성을 간략하게 기술하였으며 최종학습성과는 진료 현장에서 접할 임상표현을 적절하게 해결할 수 있는 기본적인 진료역량으로 일반학습성과를 더욱 구체화하였다. 실행학습목표는 최종학습성과(기본 수준의 적절한 진료역량)에 도달하기 위해서 필요한 기본 지식, 술기 및 태도를 기술하였다.

과학적 개념과 원리는 각 임상표현의 병인과 병태생리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진단적 추론과 치료적 의사결정을 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본 협회에서 2014년에 발간한 ´기본의학교육 학습성과: 과학적 개념과 원리 중심´에서 관련 내용을 인용하였다. 필수 임상술기 및 진료수행은 각 임상표현을 해결하는데 실질적 도움을 주고자 본 협회에서 2016년에 발간한 ´기본임상술기지침´ 제2판과 ´기본진료수행지침´ 제2판의 내용을 연계하였다. 그리고 각 임상표현에 대한 맥락은 해당 실행학습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학습을 하거나 경험하는데 도움이 되는 임상 상황 또는 질병을 학습맥락으로 제시하였다.

´기본의학교육 학습성과: 진료역량 중심´ 제2판의 개발과정에는 전국의 각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에서 추천받은 임상교수 84명의 개발위원들이 참여하였으며, 협회, 교육위원회 위원, 협회 전문위원, 학습성과 개발기획위원, 그리고 편집위원들의 지속적인 노력이 있었다. 본 ´기본의학교육 학습성과: 진료역량 중심 제2판´ 개발에는 협회의 ´기본의학교육 학습성과: 진료역량 중심´ 제1판, 임상술기, 진료수행지침 제2판, 의사국가시험 필기, 및 실기 평가목표집, 2014년에 협회가 개발한 ´기본의학교육 학습성과: 과학적 개념과 원리중심´ 그리고 2014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외래기준 다빈도 질병 통계자료와 미국, 캐나다 등 외국의 학습목표집을 참고하였다. 앞으로도 협회는 각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의 의견을 지속적으로 수렴하여 1~2년마다 소규모 개정 및 보완을 하고 4~6 년마다 대규모 개정작업을 계획하고 있다.

이번에 협회가 새로 발간하는 ´기본의학교육 학습성과: 진료역량 중심´ 제2판을 각 대학의 의학교육과정에 적극 활용하여 ´역량을 갖춘 좋은 의사(good doctor)´ 양성이라는 기본의학교육의 사회적 책무성(social accountability)을 달성하는데 많은 기여를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