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부지식의 생산과 공유: 연구와 출판 하기
1장 의학연구 이해 및 활성화 방안
1. 들어가는 말
대학의 역할은 국가와 인류사회 발전에 필요한 학술 이론과 응용 방법을 교수하고 연구하는 것이다. 즉, 대학은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사회가 요구하는 인력을 양성하고, 현재의 문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미래의 불확실성에 대비하기 위한 체계적인 조사활동을 수행하는 고등교육 기관이다. 여기에서는 의과대학 교수가 주로 수행하는 의학 연구에 대한 이해 및 활성화 방안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2. 의학 연구의 분류 및 목표
어느 학문 분야에서든지 기초 연구 과정에서 새로운 지식이나 정보가 발견되면, 이를 응용한 연구·개발(R&D) 과정으로 이어질 수 있다. 즉, R&D 과정은 기초연구, 응용연구, 개발연구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시행령인 「국가연구개발사업 등에 관한 규정」에서는 연구개발을 다음과 같이 3단계로 분류해서 정의하고 있다
- 기초연구단계: 특수한 응용 또는 사업을 직접적 목표로 하지 아니하고 현상 및 관찰 가능한 사실에 대한 새로운 지식을 얻기 위하여 수행하는 이론적 또는 실험적 연구단계
- 응용연구단계: 기초연구단계에서 얻어진 지식을 이용하여 주로 실용적인 목적으로 새로운 과학적 지식을 얻기 위하여 수행하는 독창적인 연구단계
- 개발연구단계: 기초연구단계, 응용연구단계 및 실제 경험에서 얻어진 지식을 이용하여 새로운 제품, 장치 및 서비스를 생산하거나 이미 생산되거나 설치된 것을 실질적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체계적 연구단계
의학을 포함한 여러 학문 분야에서 R&D를 ´새로운 제품 또는 기술의 개발로 이어질 수 있거나 기존 제품 또는 기술의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는 발견을 목적으로 실시하는 조사활동´으로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R&D의 궁극적 목표는 우리 삶의 질 향상 또는 기술 혁신이라고 말할 수 있다. 미국 국립보건원(NIH)에서는 의학 연구의 목표를 ´질병과 장애의 예방, 감지, 진단, 치료 등에 도움이 되는 새로운 지식의 규명´이라고 제시하고 있다. 우리 분야에서 R&D 목표에 대해 좀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의학연구의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는 보건의료기술(health technology) R&D를 예로 들어 좀 더 구체적으로...
더보기
집필자 소개
김성윤,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약력
- 가톨릭대학 의학부 졸업
- (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학장/약리학교실 교수
- (현) 대한의학회 기초의학이사
- (현)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 연구이사